관계와 소통이 어려운 진짜 이유_3 >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상처 나만 왜 아플까?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도움이 되는 상담사례

|
22-02-07 11:17

관계와 소통이 어려운 진짜 이유_3

흐르는강물
조회 수 4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관계와 소통이 어려운 진짜 이유_3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좋게 봐주길 원하지만, 정작 우리 자신은 다른 사람을 좋지 않게 볼 가능성이 크다. 정말 그들이 부정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인 걸까?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 자신을 좋고 바람직하게 생각하기를 원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한다. 그래서 보통은 자신의 긍정적인 점들은 더 크게 부각시켜 평가하고, 부정적인 측면은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한다. 이처럼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동력이다. 스스로 자기를 존중하고 가치 있다고 생각해야 살맛이 나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자기 평가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고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지 못한다면, 자기 자신이 개인적으로 하는 일이나 다른 사람과 맺는 관계 모두가 무의미하게 된다. 무가치하고 나쁜 사람인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고 좋은 일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람은 모든 일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고 무기력하며 허무한 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자신을 인정하고 존중하려는 경향을 거의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때 자신을 좋고 바람직하게 인식하는 데 나에 대한 다른 사람의 긍정적 평가가 거의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나의 성격이나 행동이 좋은지 나쁜지는 내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다른 대다수 사람들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가령, 자기를 낮추는 겸손이 서구문화보다는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문화에서 더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것은 동양문화에 속한 다수의 사람들이 겸손한 행동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타인에 부정적인 우리

 

 

같은 맥락에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는 보상은 긍정적 자기인식을 크게 강화시켜 준다. 그래서 우리는 자신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다. 이러한 보상에는 단순한 칭찬부터 값비싼 선물, 승진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우리는 다른 사람의 비판보다는 칭찬을 원하는데, 그러면 우리는 다른 사람을 좋게 보고 칭찬을 해주기가 쉬울까 아니면 그들을 부정적으로 보고 비판하기가 쉬울까?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떤 사람을 좋은 사람보다는 나쁜 사람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

왜 우리는 타인을 부정적으로 볼까

그 한 가지 이유로, 어떤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가 그가 어떤 사람인지를 진단할 때 더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Skowronski & Carlston, 1989. 가령, 어떤 사람을 정직하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여러 상황과 시간대에 걸쳐 일관적으로 정직하게 행동하는지를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그 사람이 부정직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부정적한 행동을 관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처럼 이 사람을 정직한 범주에서 제외하는 데 부정적 행동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우리는 긍정적 정보보다는 부정적 정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부정적 편향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판단의 오류가 가져오는 위험을 추정하고 그것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Nesse, 2005. 즉,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잘못 판단하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잘못 판단하는 것이 우리에게 더 위험하다. 협동적인 상대방을 사기꾼으로 잘못 판단했을 경우, 우리는 그 사람과 동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사기 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기꾼인 상대방을 정직한 사람으로 잘못 판단해서 사업을 같이 하면, 나는 내가 투자한 만큼 손해를 보게 된다.

또 다른 설명은 긍정적인 것의 안정성과 관련된 것이다. 우리가 새로운 도전과 위협을 수반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행동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지금의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 이때 현재의 좋고 유리한 상황을 유지하는 것은 다수의 조건을 충족할 때 가능한 반면, 그 중 하나의 조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면 이러한 상황은 나쁘게 변한다Rozin & Royzman, 2001.

예를 들면, 우리의 건강은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모든 요인들이 제대로 작동할 때 건강이 유지된다. 반대로, 그 중 일부만 문제가 있어도 이 시스템은 멈추게 된다. 그래서 매일 건강을 지킬 때 우리의 삶은 유지되지만, 죽음은 건강을 지키지 않는 단 한 번이면 충분하다. 그래서 우리는 건강을 해치는 사건이나 그와 관련된 정보에 더 민감하게 주목하게 된다(Baumeister et al., 2001).

부정적인 행동이 더 잘 기억

더군다나, 부정적인 행동이 주는 영향이 긍정적인 행동이 주는 영향보다 더 강력하다. 한 연구에서 속이는 사람이거나 믿을 만한 사람의 얼굴에 노출된 참가자들은 일주일 후 사기꾼의 얼굴을 더 잘 기억했다Mealey et al., 1996. 부정적 정보(가령, 부패한, 멍청한)와 긍정적 정보(가령, 청렴한, 영리한)를 함께 제공해서 타인을 평가하도록 하면, 부정적 정보가 인상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Martijn et al., 1992.

나쁜 것과 좋은 것의 효과를 비교한 여러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티어니와 바우마이스터는 나쁜 것의 영향력이 좋은 것보다 최소 2~3배 강력하기 때문에, 나쁜 것을 제압하려면 좋은 것이 4배 더 많아야 한다는 '4의 법칙'Rule of four 제안했다Tierney & Baumeister, 2019. 당신이 회의에 한 번 늦었다면 다음 회의에 한 번 일찍 가는 것만으로 지각의 부정적 영향을 회복할 수는 없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 주는 말이나 행동을 했다면, 한 번의 좋은 일로 속죄할 수는 없다. 적어도 네 번은 해야 한다.

4의 법칙

 

 

이처럼 우리 눈에는 상대방의 부정적인 점이 더 잘 보이고, 그에 따른 우리의 부정적인 반응은 상대방에게 더 큰 상처를 준다. 그렇다면 정말 우리의 삶은, 나와 관계하는 상대방은 부정적인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을까? 라스센과 프리즈믹(이 사람들의 좋은 날과 나쁜 날을 1~3개월간 측정한 결과, 보통 사람들은 좋은 날 세 번에 나쁜 날 한 번을 경험했다. 비슷하게, 뉴스 헤드라인이 아무리 슬프고 절망적이어도 대부분의 날에는 나쁜 일 하나에 좋은 일이 네 개 이상 생긴다Larsen & Prizmic, 2008.

한 개인의 행동도 마찬가지이다. 그 사람이 우리 눈에 잘 보이는 나쁜 행동을 주로 한다면, 그는 이 사회에서 이미 도태되었을 것이다. 말하자면, 그 사람도 우리 눈에는 잘 안 보이는 좋은 행동을 나쁜 행동보다 적어도 몇 배 정도는 더 한다. 그래서 우리가 대인관계를 잘 하려면 상대방의 이러한 행동에 주목하고 그래서 좋게 보고 칭찬해 줄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그 속에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생긴다. (출처 내 삶의 심리학 mind)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 보기 ( 0개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도움이 되는 상담사례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7 청년층 뒤덮은 상대적 박탈감 … ‘흙수저’들의 슬픈 자화상 흐르는강물 08-05 472
86 완벽이라는 허상 흐르는강물 06-02 425
85 나쁜 기억의 좋은 점 흐르는강물 05-24 405
84 좀 더 낙천적으로 살아가는 방법 흐르는강물 05-16 402
83 감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 흐르는강물 05-04 449
82 특별해야 사랑받을까 흐르는강물 04-23 375
81 자신을 피해자로만 인식하는 성향의 아이들 흐르는강물 04-16 624
80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판단하지 말아야 흐르는강물 04-05 447
79 부모의 양육 방식을 답습하고 있는가? 흐르는강물 03-29 425
78 나는 왜 힘들까? 흐르는강물 03-17 432
77 차 한잔이 가져오는 놀라운 변화 흐르는강물 03-07 389
76 진정한 이해 흐르는강물 02-18 402
» 관계와 소통이 어려운 진짜 이유_3 흐르는강물 02-07 431
74 변해야 할 건 자식이 아니라 부모다 흐르는강물 01-19 606
73 때를 놓치기 전에 불만을 토로하라 흐르는강물 01-10 456
72 상대방을 치유하는 사람의 7가지 특징 흐르는강물 12-30 618
71 ‘다음 세상’ 존재를 믿고 자살하는 사람들 흐르는강물 12-24 702
70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제안하는 아들러식 셀프 코칭(1) 흐르는강물 12-15 444
69 긍정 심리학에 대한 7권의 책 흐르는강물 11-24 455
68 강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을 멈추는 방법 흐르는강물 11-13 501
67 부정성 편향: 어떻게 이용하고 극복할 것인가 흐르는강물 11-08 507
66 "척 보면 압니다”에 대한 시각심리학적 단편 흐르는강물 10-26 424
65 청소년 자해와 자살 흐르는강물 10-16 622
64 패션 심리학: 당신의 옷이 당신을 말해준다 흐르는강물 10-06 676
63 무기력증: 생각보다 많은 이가 오해하고 있는 무기력증의 진실 흐르는강물 09-28 565
62 존중이란 정확히 무엇이며 어떻게 실천하는가 흐르는강물 09-18 658
61 분노의 심리학:분노하는 사람들이 숨기는 것 흐르는강물 09-13 750
60 변화를 두려워하는 이유로는 무엇이 있을까? 흐르는강물 09-06 517
59 잔인한 사람이 좋은 사람인 척 위장할 때 흐르는강물 08-23 635
58 코로나시대의 감정읽기 흐르는강물 08-18 491
57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 흐르는강물 08-06 549
56 생각없이 해야 잘 되는 일 흐르는강물 07-28 477
55 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 흐르는강물 07-17 974
54 친구 간의 질투: 특성, 원인 및 행동 흐르는강물 07-10 967
53 강박증에 대하여 흐르는강물 07-02 637
52 성인 자녀를 심리적으로 학대하는 부모 인기글 흐르는강물 06-30 1224
51 알렉스 쿠소의 ‘내 안에 내가 있다’ 흐르는강물 06-19 488
50 통제감 환상, 의지력처럼 보이는 잘 포장된 객기 흐르는강물 06-11 497
49 부모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부모의 6가지 특징 흐르는강물 06-07 915
48 저는 제 가족이 불편한데요 흐르는강물 05-31 82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

작은씨앗 작은씨앗 054-***-5252 wo215@nate.com
포항시 북구 환호공원길39 영원빌딩 201호 /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실마을길174번길 10(덕장리 803)
대표 : 이성우 고유번호 : 506-82-11544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우

Copyright © smallseed.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