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기억의 좋은 점 >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상처 나만 왜 아플까?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도움이 되는 상담사례

|
22-05-24 12:36

나쁜 기억의 좋은 점

흐르는강물
조회 수 33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우리의 뇌는 보통 좋은 기억보다는 나쁜 기억을 머릿속에 오래 저장한다고 한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의 뇌는 생존과 관련된 공포에 대한 기억을 장기간 저장하는 것으로 진화됐다고 한다. 특히, 물리면 죽는 `뱀의 독`, 화려하지만 먹으면 죽는 `독버섯` 등 우리의 생명과 밀접히 관련된 독에 대한 기억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이자 영구 저장돼야 하는 경고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일까? 사람들은 의약품이나 화학물질에 대해 해박한 지식이 없어도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이나 독성을 유발하는 물질에 대해서는 누구나 기억의 각인을 가지게 된다. 반세기도 더 지난 탈리도마이도(Thalidomide) 사건이나 얼마 전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누구에게나 공포를 심어주기에 충분한 사회적 이슈였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의약품 독성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수많은 희생을 치루고 나서야 이슈화돼 사람들의 기억 속에 각인이 된다는 것이다.



 `탈리도마이도` 사건은 의약품 부작용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알만한 현대의학 역사상 최악의 사건 중 하나다. 독일의 제약사 그뤼넨탈(Grunenthal GmbH)에서 `콘테르간(Contergan)`이라는 제품명으로 출시된 탈리도마이드는 뛰어난 진정·수면 효과를 보이며 처방전 없이도 구매할 수 있는 안전한 약물로 대대적으로 홍보됐다.



특히 입덧 완화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 수 많은 임산부들이 복용했으나 콘테르간을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들은 60% 정도만 생존했고, 생존한 아이들에게는 팔다리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기형이 유발됐다. 전 세계 46개국에서 사용된 이 약으로 인해 1만 2000명 이상의 기형아가 태어났고 이들은 평생 장애를 안고 사는 비극을 맞이하게 됐다.



반면, 미국은 탈리도마이드에 의해 유발된 기형아 출산이 17건으로 다른 서방국들과는 달리 피해가 극히 미미했다. 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 평가를 담당했던 프란시스 켈시 박사의 숨은 공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탈리도마이드 제약사의 집요한 로비와 협박에도 불구하고 탈리도마이드의 효능과 태아에서의 안전성 자료의 부족함을 이유로 지속적으로 승인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켈시 박사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으로부터 훈장을 수여 받았고, 탈리도마이도 사건과 켈시 박사의 공헌은 현재의 의약품 규제의 바탕이 된 한층 강화된 의약품 허가제도에 대한 수정안이 미의회에서 통과되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불행 중 다행인 것은 우리는 지나간 일을 반면교사 삼아 더 이상의 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전히 사람들의 머릿속에 각인된 나쁜 기억은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생활 속 화학제품에 대한 케모포비아 확산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 만큼이나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많다.



하지만 이로 인한 화학제품 오·남용에 대한 경각심이나 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지난 20년간 독성연구 분야 국내 유일의 출연연구기관으로 안전한 의약품, 치료제 및 화학물질 개발을 위한 안전성·독성 연구를 수행해왔다.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노력을 되짚어 보며, 나쁜 기억을 좋은 기억으로 되돌리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박한진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장
출처​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 보기 ( 0개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처 나만 왜 아플까?

도움이 되는 상담사례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7 청년층 뒤덮은 상대적 박탈감 … ‘흙수저’들의 슬픈 자화상 흐르는강물 08-05 363
86 완벽이라는 허상 흐르는강물 06-02 325
» 나쁜 기억의 좋은 점 흐르는강물 05-24 334
84 좀 더 낙천적으로 살아가는 방법 흐르는강물 05-16 367
83 감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 흐르는강물 05-04 419
82 특별해야 사랑받을까 흐르는강물 04-23 342
81 자신을 피해자로만 인식하는 성향의 아이들 흐르는강물 04-16 570
80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판단하지 말아야 흐르는강물 04-05 394
79 부모의 양육 방식을 답습하고 있는가? 흐르는강물 03-29 399
78 나는 왜 힘들까? 흐르는강물 03-17 405
77 차 한잔이 가져오는 놀라운 변화 흐르는강물 03-07 357
76 진정한 이해 흐르는강물 02-18 377
75 관계와 소통이 어려운 진짜 이유_3 흐르는강물 02-07 392
74 변해야 할 건 자식이 아니라 부모다 흐르는강물 01-19 567
73 때를 놓치기 전에 불만을 토로하라 흐르는강물 01-10 428
72 상대방을 치유하는 사람의 7가지 특징 흐르는강물 12-30 577
71 ‘다음 세상’ 존재를 믿고 자살하는 사람들 흐르는강물 12-24 661
70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제안하는 아들러식 셀프 코칭(1) 흐르는강물 12-15 415
69 긍정 심리학에 대한 7권의 책 흐르는강물 11-24 425
68 강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을 멈추는 방법 흐르는강물 11-13 464
67 부정성 편향: 어떻게 이용하고 극복할 것인가 흐르는강물 11-08 469
66 "척 보면 압니다”에 대한 시각심리학적 단편 흐르는강물 10-26 404
65 청소년 자해와 자살 흐르는강물 10-16 583
64 패션 심리학: 당신의 옷이 당신을 말해준다 흐르는강물 10-06 628
63 무기력증: 생각보다 많은 이가 오해하고 있는 무기력증의 진실 흐르는강물 09-28 520
62 존중이란 정확히 무엇이며 어떻게 실천하는가 흐르는강물 09-18 609
61 분노의 심리학:분노하는 사람들이 숨기는 것 흐르는강물 09-13 722
60 변화를 두려워하는 이유로는 무엇이 있을까? 흐르는강물 09-06 484
59 잔인한 사람이 좋은 사람인 척 위장할 때 흐르는강물 08-23 609
58 코로나시대의 감정읽기 흐르는강물 08-18 468
57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 흐르는강물 08-06 516
56 생각없이 해야 잘 되는 일 흐르는강물 07-28 462
55 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 흐르는강물 07-17 915
54 친구 간의 질투: 특성, 원인 및 행동 흐르는강물 07-10 910
53 강박증에 대하여 흐르는강물 07-02 614
52 성인 자녀를 심리적으로 학대하는 부모 인기글 흐르는강물 06-30 1149
51 알렉스 쿠소의 ‘내 안에 내가 있다’ 흐르는강물 06-19 458
50 통제감 환상, 의지력처럼 보이는 잘 포장된 객기 흐르는강물 06-11 466
49 부모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부모의 6가지 특징 흐르는강물 06-07 821
48 저는 제 가족이 불편한데요 흐르는강물 05-31 75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

작은씨앗 작은씨앗 054-248-5252 wo215@nate.com
포항시 북구 환호공원길39 영원빌딩 201호 /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실마을길174번길 10(덕장리 803)
대표 : 이성우 고유번호 : 506-82-11544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우

Copyright © smallseed.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