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웃고 말자 > 새창을 열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새창을 열며

새창을 열며

가슴에 번지는 이야기 나눌까요?

|
21-09-28 10:06

혼자 웃고 말자

흐르는강물
조회 수 5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조선시대 지방 수령 중에 과천 현감은 서울이 가깝고, 세수(稅收)가 많고, 중앙 고관을 접촉할 기회가 많아 영전하기 좋은 요직이다. 어느 과천 현감이 서울로 영전하여 떠나게 되자 아전들이 송덕비를 세웠다. 떠나는 날 아침이 송덕비 제막식이다. 비문에 “금일송차도(今日送此盜). 오늘 이 도둑이 떠난다.”라고 새겨져 있었다. 현감이 껄껄 웃으며 “명일래타적(明日來他賊) 내일 다른 도적이 올 것이다”라고 한 줄 더 넣었다. 현감의 인간미가 느껴진다. 기가 막힌 아전들이 “도둑이 끝없이 오는구나(此盜來不盡).” 지나던 과객이 한 술 더 떠 “세상이 온통 도둑이다(擧世皆爲盜).”라 새겨 넣었다는 이야기. 웃음이 나온다. 풍자 속에 장난기의 여유가 느껴져 홀로 웃었다.

김상용 시인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라는 시에서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라고 표현한 마지막 연은 이 시의 가장 함축적인 부분으로 작가의 인생관과 세계관이 담겨 있다. 삶의 의미를 묻는 물음에 잔잔한 웃음으로 답하는 모습은 삶에 대한 깊은 성찰에서 우러나온 초월과 달관의 경지를 담고 있다. 남이 몰라줄지라도 자연과 더불어 이웃을 사랑하며 사는 혼자만의 즐거움을 나타낸 웃음. 조용하고 맑은 웃음일 것이다.

홍관희 시인의 시 ‘사는 법’. “살다가 사는 일이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 길을 멈춰 선 채 달리 사는 법이 있을까 하여 다른 길 위에 마음을 디뎌 보노라면 그 길을 가던 사람들도 더러는 길을 멈춰 선 채 주름 깊은 세월을 어루만지며, 내가 지나온 길 위에 마음을 디뎌 보기도 하더라. 마음은 그리하더라.” 웃음이 나온다. 사람살이가 다 그렇고 그렇구나 싶어서 나오는 웃음이다.

다산 정약용의 시 독소(獨笑). “양식이 있으면 먹을 식구가 없고, 자식이 많으니 굶주림이 있으며, 높은 벼슬아치는 멍청하고, 재주 있는 인재가 재주 펼칠 길이 없다. 완전한 복 갖춘 집이 드물고, 지극한 도는 쇠퇴하기 마련이며, 아비가 절약하면 아들이 방탕하고,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이 어리석다. 보름달 뜨면 구름 자주 끼고, 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댄다. 세상일이란 다 이런 거다. 나 홀로 웃는 까닭을 아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세상일에 대한 비관적인 깨달음이다. 자조적인 웃음이다. 그렇다 싶어 나도 따라 웃는다.

요즘 세상을 살면서 홀로 웃을 때가 많다. 어쩜 세상 돌아감이 예나 지금이나 같아서 우습다. 서로 헐뜯는 모습도 우습다. 대통령이 되고 싶은 사람이 이처럼 많은 것도 우습다. 웃는 것이 짜증 내는 것보다 좋게 보일지는 모르겠다. 촛불을 밝혀 들고 혁명을 했으면 뭔가 달라져야 하는데, 달라진 것이 하나 없다. 정권을 재창출하겠다는 사람들이나 기필코 정권을 교체하겠다는 사람들이 모두 우습다. 거짓말 같다. 자신의 권력욕에 함몰되어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들 같다. 웃기는 일이다.

‘소가 웃을 일’. 너무 기가 막히거나 어이없을 때 ‘소가 다 웃을 일’이라는 말을 쓴다. 웬만한 일에는 흔들림 없이 묵묵히 일하는 소다. 세상일에 관심이 없어 보이는 소까지 웃을 일이라는 것이다. ‘지나가는 개가 웃을 일’이란 말도 쓴다. ‘지나가는 개’라는 말은 전혀 관심을 가지지 않은 상태를 두고 하는 말이다. 무관심 상태의 개, 하등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개도 웃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웃음 전도사도 있고, 웃음 치료사도 있다. 소문만복래. 웃으면 복이 온다. 웃어야 한다. 소도 웃고, 지나가던 개도 웃고, 나도 그냥 혼자 웃고 말자.

출처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http://www.kyongbuk.co.kr)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 보기 ( 0개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새창을 열며

가슴에 번지는 이야기 나눌까요?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5 칼리 지브란의 결혼에 대하여 결혼에 대하여 - 칼리 지브란(Kah... 작은씨앗 06-19 508
124 산다 산다 다니카와 슌타로 ​... 작은씨앗 02-14 243
123 방하착 <방하착(放下着)과 착득거... 작은씨앗 11-27 313
122 내 엄마의 손과발 내용없음 작은씨앗 10-31 176
121 결혼 ... 작은씨앗 09-21 177
120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나는 어린 여러분들과 몇 토막 이야기... 흐르는강물 08-05 293
119 잔머리를 굴리다 이웃집 할머니와 이야기를 나누다, 문... 흐르는강물 06-02 449
118 사투리를 살려 쓰자 사람들의 억양만 들어도 아하 남해사람... 흐르는강물 05-24 359
117 자연과 인간 인간 네가 각종 오염물질로 지구 내 ... 흐르는강물 05-16 347
116 그가 던진 질문 3 지금 지구촌에서 살고 있는 80억 명... 흐르는강물 05-04 357
115 정겹고 한 많은 보릿고개 손에 손잡고 벽을 넘는 자유로운 일상... 흐르는강물 04-23 324
114 히틀러와 채플린 역사는 반복되는 것입니다. 한번은 비... 흐르는강물 04-16 346
113 때로는 침묵이 웅변보다 더 힘 있게 느껴질 때가 있다 때로는 침묵이 웅변보다 더 힘 있게 ... 흐르는강물 04-05 416
112 소통과 단절과 커지는 외로움 상상을 초월하는 스피드와 용량을 자랑... 흐르는강물 03-29 391
111 얀테의 법칙, 보통사람의 법칙 누구나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고민을 ... 흐르는강물 03-17 388
110 척이라도 합시다 척이라도 합시다“고결한 척, 착한 척... 흐르는강물 03-07 376
109 기억 기억웃으려 하여도 아니 웃다가도 웃으... 흐르는강물 02-18 358
108 타자를 받아들이는 방식, 경청(傾聽) 타자를 받아들이는 방식, 경청(傾聽)... 흐르는강물 02-07 378
107 혀를 이기는 자가 승자다 혀를 이기는 자가 승자다세상의 변화만... 흐르는강물 01-19 374
106 나를 만들어가는 말의 힘 나를 만들어가는 말의 힘나는 나이 예... 흐르는강물 01-10 416
105 승리의 비법 승리의 비법- 먼저 너 자신을 알라&... 흐르는강물 12-30 421
104 보통날 매일 아무렇지 않은 듯 눈을 뜨고때에... 흐르는강물 12-24 431
103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겨울나무처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겨울나무처럼겨우살... 흐르는강물 12-15 448
102 낙엽 차가워진 날입니다. 몸과 마음을 움츠... 흐르는강물 11-24 420
101 사람만 남았다 ‘사람만 남았다’​“회장님은 ‘효(孝... 흐르는강물 11-13 424
100 용서란? 용서(容恕)는 한자어이며 국어사전에는... 흐르는강물 11-08 445
99 한 말씀이 꽃이 되다 세상은 말잔치이다. 철이 되면 말의 ... 흐르는강물 10-26 453
98 진실 기쁨보다는 슬픔이 즐거움보다는 아픔이... 흐르는강물 10-16 433
97 분노와 화는 다르다 분노와 화는 다르다. 분노가 사회적인... 흐르는강물 10-06 431
» 혼자 웃고 말자 조선시대 지방 수령 중에 과천 현감은... 흐르는강물 09-28 523
95 갈등을 해결하는 법 갈등을 해결하는 법갈등을 해결함에 있... 흐르는강물 09-18 472
94 차림새 - ‘나를 지키는 것’ 어쩌다 무심코 거울 속에 비치는 한 ... 흐르는강물 09-13 478
93 지금 이 시간, 지금 이 사람이 소중한 이유 지금 이 시간, 지금 이 사람이 소중... 흐르는강물 09-06 433
92 조바심이 실수를 부른다 흔히 알려져 있는 조바심의 어원은 조... 흐르는강물 08-23 485
91 두려움을 이기는 길 한 해 내내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온... 흐르는강물 08-18 483
90 당연한 것에 대한 고마움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의 일상 전 영역... 흐르는강물 08-06 453
89 믿음, 말이 아닌 행동으로 쌓인다 공자는 믿음을 정치의 근본이자 나라 ... 흐르는강물 07-28 436
88 나무에 가지가 많은 이유 내가 사는 지역엔 노거수(老巨樹)라 ... 흐르는강물 07-17 454
87 [책] 직관과 이성의 충동과 융합을 분석한 <생각에 대한 생각> 생각을 지배하는 생각? 행동경제학에 ... 흐르는강물 07-10 489
86 환경을 활용하고 창조하는 법을 터득하라 환경을 활용하고 창조하는 법을 터득하... 흐르는강물 07-02 431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

작은씨앗 작은씨앗 054-248-5252 wo215@nate.com
포항시 북구 환호공원길39 영원빌딩 201호 /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실마을길174번길 10(덕장리 803)
대표 : 이성우 고유번호 : 506-82-11544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우

Copyright © smallseed.or.kr All rights reserved.